1. 출 제
출제 방향
◦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출제함.
◦ 기본 개념과 원리에 충실하고 추리, 분석, 종합, 평가 등의 사고력을 측정하도록 출제함.
◦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하고 공교육의 범위 내에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출제함.
출제 영역/선택과목
◦ 국어, 수학 영역은 ‘공통과목+선택과목’ 구조에 따라 공통과목은 공통 응시하고 영역별 선택과목 중 1개 과목을 선택함.
- 국어 영역은 독서, 문학, 선택과목(화법과 작문, 언어와 매체 중 택1)에서 총 45문항을 출제함.
- 수학 영역은 수학Ⅰ, 수학Ⅱ, 선택과목(확률과 통계, 미적분, 기하 중 택1)에서 총 30문항을 출제함.
◦ 영어 영역은 영어Ⅰ, 영어Ⅱ에서 총 45문항을 출제함.
◦ 한국사 영역은 한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 핵심 내용 위주로 총 20문항을 출제함.
◦ 사회·과학탐구 영역은 17개 과목(생활과 윤리, 윤리와 사상, 한국지리, 세계지리, 동아시아사, 세계사, 경제, 정치와 법, 사회・문화, 물리학Ⅰ, 화학Ⅰ, 생명과학Ⅰ, 지구과학Ⅰ, 물리학Ⅱ, 화학Ⅱ, 생명과학Ⅱ, 지구과학Ⅱ)에서 과목당 20문항을 출제하며, 이들 17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음.
◦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선택 가능하며, 과목당 20문항을 출제함.
- 1개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계열별 선택과목(농업 기초 기술, 공업 일반, 상업 경제, 수산・해운 산업 기초, 인간 발달) 중 1개를 선택해야 하며, 2개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우선 선택하고 계열별 선택과목 중 1개를 선택해야 함.
◦ 제2외국어/한문 영역은 9개 과목(독일어Ⅰ, 프랑스어Ⅰ, 스페인어Ⅰ, 중국어Ⅰ, 일본어Ⅰ, 러시아어Ⅰ, 아랍어Ⅰ, 베트남어Ⅰ, 한문Ⅰ)에서 과목당 30문항을 출제하며, 이들 9개 과목 중 1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음.
문항 유형 및 배점
◦ 문항 유형은 객관식 5지선다형으로 하되, 수학 영역은 단답형(답안지에 표기)을 30% 포함함.
◦ 각 영역별 문항 배점은 문항의 난이도,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, 중요도, 사고 수준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차등 배점함.
- 국어, 영어, 한국사, 탐구(사회・과학・직업) 영역: 2, 3점
- 수학 영역: 2, 3, 4점
-제2외국어/한문 영역: 1, 2점
듣기평가 문항
◦ 영어 영역의 듣기평가 문항 수는 17문항으로 25분 이내 실시함.
2. 시험관리
응시원서 접수
◦ 응시원서 접수는 각 시험지구별로 2025. 8. 21.(목)부터 9. 5.(금)까지 하며, 접수 장소는 다음과 같음.
구분 | 접수장소 | 비고 |
졸업예정자 | 재학 중인 고등학교 | |
졸업자 | 출신 고등학교 ✔다만, ①응시원서 접수일 현재 주소지와 출신학교 소재지가 서로 다른 관할 지구일 경우 또는 ②현재 주소지와 출신학교 소재지가 동일 시험지구내 서로 다른 관할 행정구역(도의 시·군만 해당)일 경우, 현재 주소지 관할 시·도교육감이 지정하는 시험지구에서도 접수 가능 |
※ 시도교육청 자체 계획에 따라 시도교육청 관할 이외의 지역에서 파견 접수도 가능 |
검정고시 합격자 등 | 현재 주소지 관할 시·도교육감이 지정하는 장소 |
◦ 응시원서 작성 방법 및 접수 방법
①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입력 홈페이지(mycsat.re.kr) 회원가입 후 내용 입력 및 저장
- 여권용 규격 사진 업로드(사진규격 : 파일 크기 500KB 이하, 파일 형식 JPG/JPEG, 가로 413 픽셀(pixel), 세로 531 픽셀 사이즈 권장(가로 395~431 픽셀, 세로 507~550 픽셀 이내만 업로드 가능), 해상도는 300dpi 권장, 6개월 이내에 촬영된 사진)
②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입력 시스템을 통해 안내된 가상계좌 등으로 응시수수료 납부
③ 현장 접수처를 반드시 방문하여 본인 확인, 응시원서 내용 확인 및 서명, 접수증 수령을 통해 접수 완료
※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입력을 완료한 수험생은 현장 접수처에 신분증만 준비하여 방문하면 접수를 완료할 수 있음. (다만, 증빙서류 제출 해당자는 아래 내용 참조)
◦ 제출 서류
※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입력 홈페이지 이용이 어려운 수험생의 경우에는 아래 서류를 구비하여 현장 접수처에서 응시원서 작성 및 접수 가능
- 응시원서 1통(원서 교부처에 비치)
- 여권용 규격 사진 2매(응시원서 부착용)
※ 외교부 여권 안내 홈페이지(www.passport.go.kr) 여권사진규정 참조
- 응시수수료 납부 영수증 1통(원서 접수 시 접수처 안내에 따라 납부)
※ 응시수수료 금액은 시행세부계획 공고 시 안내 예정
- 신분증(원서 접수 시 본인 확인용으로 활용)
- 기타 서류(해당자만 제출)
※ 주소지 이전 등으로 출신 고등학교 이외 시험지구에서 지원하는 자 - 졸업증명서 원본 1통 - 주민등록초본(주소 확인용) 1통 - 직업탐구 영역을 선택할 경우, 해당 교육과정 이수를 증명하는 학교장 확인서 1통(단, 재학(출신)학교에서 접수 시 응시원서상의 접수자 확인으로 대체) ◦ 산업수요 맞춤형 및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 교과Ⅱ 교육과정을 86학점(단위)이상 이수해야 응시할수 있음. 단, 2020년 3월 1일 이전 졸업자의 경우는 직업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을 86단위(2016년 3월 1일 이전 졸업자는 80단위) 이상 이수해야 응시할 수 있음. ※ 검정고시 합격자: 합격증(합격증명서) 1통, 주민등록초본(주소 확인용) 1통 ※ 기타학력인정자, 장애인, 입원 중인 환자, 수형자 등: 관련 증빙서류 제출 |
◦ 제출 방법
- 졸업예정자는 재학 중인 고등학교에, 졸업자는 출신 고등학교에 응시원서를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.
- 응시원서는 응시자 본인이 직접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.
· 수형자, 군복무자, 입원 중인 환자, 원서접수일 기준 해외 거주자(해외 여행자는 제외), 장애인(시험편의제공대상자에 한함)에 한하여 수험생의 가족 등이 관련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대리 제출 가능
※ 증빙서류: 수감확인서, 군복무증명서, 입원확인서, 출입국사실증명서, 복지카드, 장애인증명서 등 ※ 응시원서를 대리로 제출하는 자는 원서 제출 시 응시자와의 관계를 입증하는 서류(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 등)를 반드시 첨부하여 제출 |
· 기타 불가피한 경우에는 시・도교육감의 판단에 따라 대리 제출 허용 여부 결정
- 본인 여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우편에 의한 접수는 불가함.
- 응시원서에 부착하는 사진은 여권용 규격 사진임.
· 원서접수 시작일로부터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된 천연색 상반신 정면 여권용 규격 사진(가로 3.5cm×세로 4.5cm)으로, 머리의 길이(정수리부터 턱까지)는 3.2cm∼3.6cm 이어야 함.
※ 머리카락, 안경테 등으로 눈을 가리거나 모자 등으로 머리를 가리면 안 됨. ※ 디지털 사진의 경우 관련 S/W를 통한 원판 변형을 금지함. ※ 배경은 균일한 흰색이어야 하고 테두리가 없어야 함. ※ 외교부 여권 안내 홈페이지(www.passport.go.kr) 여권사진규정 참조 |
시험지구 및 시험장
◦ 시험지구는 2025학년도 수능 시험 기준 85개이며, 시험지구 증설은 관리 및 보안문제 등의 종합적 검토 및 시・도교육감의 의견을 참작하여 시행세부계획 공고 시 확정 발표함.
◦ 수험생은 응시원서 접수기관에서 지정한 시험장의 시험실에서 응시하여야 함.
◦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험장은 고등학교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.
◦ 듣기평가 시행을 위해 학교 방송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학교를 시험장으로 지정함.
3. 채점 및 성적 통지
◦ 채점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고, 성적은 2025. 12. 5.(금)까지 통지할 예정임.
◦ 한국사 영역 미응시자에게는 성적통지표를 제공하지 않음.
◦ 성적통지표에는 수험생이 응시한 영역/선택과목별로 표준점수, 백분위, 등급을 기재함. 단, 영어 영역, 한국사 및 제2외국어/한문 영역의 경우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기재함.
◦ 공통과목+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되는 국어,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 점수를 활용한 선택과목 점수 조정 방식을 거쳐 표준점수를 산출함.
◦ 성적통지표는 응시자의 원서접수 고등학교에서 배부되며 타 시・도에서 응시한 수험생 등은 원서를 접수한 기관에서 배부함.
◦ 답안지 작성 시 2교시 수학 영역 단답형 문항에서 정답이 한 자릿수인 경우, 십의 자리에 ‘0’을 표기한 것도 인정함(예: 정답이 8인 경우 08이나 8로 표기한 것 모두 인정함).
4. 기타 사항
◦ 「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」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
(www.kice.re.kr) 및 수능 홈페이지(www.suneung.re.kr)에 탑재함.
◦ 「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업무처리지침」을 수립하여 2025년 7월 중에 시도교육청에 통보할 예정임.
◦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전년도와 같이 6월, 9월 두 차례 모의평가를 다음과 같이 실시할 예정이며, 출신 고등학교 및 해당 학원에 신청하면 시험을 볼 수 있음.
- 해당 학원은 모의평가 시행계획 공고 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 별도 공지함.
- 6월 모의평가: 6. 3.(화) 실시 예정, 응시 신청은 3. 31.(월)~4. 10.(목)
- 9월 모의평가: 9. 3.(수) 실시 예정, 응시 신청은 6. 20.(금)~7. 2.(수)
※ 6월, 9월 모의평가 시행계획 및 시험공고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(www.kice.re.kr),
수능 홈페이지(www.suneung.re.kr) 및 EBSi 홈페이지(www.ebsi.co.kr)에 추후 탑재할 예정임.
'교육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6학년도 수능 영역/과목별 출제 범위, 문항 유형 및 배점 (0) | 2025.03.27 |
---|---|
2026학년도 수능-EBS 연계 대상 교재 목록 (0) | 2025.03.27 |
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 발표 (0) | 2025.03.27 |
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시행 공고 (0) | 2025.03.27 |
2026대학수학능력평가 6월 모의평가 시간표 (0) | 2025.03.27 |